최근에 있었던 두 나라간 동방 인기투표의 결과를 비교해봤습니다.(중국 5회, 일본 13회) 동방 관련

○ 관련 : 1. 제5회 중국 동방프로젝트 인기투표 결과 발표
     2. 제13회 동방인기투표 결과 (속보) 발표...!
     3. 가장 최근에 있었던 두나라에서의 인기투표 결과를 비교해봤습니다.(2015년 당시 일본11회, 중국4회 인기투표의 비교)


에… 심유경입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짧은 시기 동안 2번의 동방 인기투표가 있었습니다.
한번은 작년 10월에 있었던 중국 동방프로젝트 인기투표(제5회) 였고,
또 한번은 바로 얼마전인 올해 1월 중순에 있었던 일본 동방프로젝트 인기투표(제13회) 였습니다.

지역에 따라서 팬덤들 사이에 조금씩 다른 특징이 보이곤 하는데, 그중 특히 눈에 띄는 부분 중 하나가 인기있는 캐릭터 아닐까 싶더군요.
이런 궁금증을 구체적인 자료로 비교해볼 수 있는 기회가 또 생겼는지라, 2015년 당시의 비교에 이어 이번에도 비교표를 만들어 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쪽을 살펴봐 주세요.
○ 관련 페이지 :

https://drive.google.com/open?id=0B5U9ZDhVCaUKUnFZYzdEOVpFRE0
중국5회 일본13회 동방인기투표 비교표 (PDF 파일 버전)

 (이미지 파일 버전)






위의 이미지에서
왼쪽 표가 제5회 동방프로젝트 인기투표 (중국) - 2016.10. 실시
오른쪽 표가 제13회 동방프로젝트 인기투표 (일본) - 2017.01. 실시
입니다.

같은 캐릭터를 색깔이 있는 선으로 연결하였으며,
빨간선 (순위가 중국 < 일본)
파란선 (순위가 중국 > 일본)
노란선 (순위가 중국 = 일본)
입니다.

중국이든 일본이든 최상위 두사람은 똑같지만 그 아래부터는 조금씩 달라지기 시작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중국 쪽에서는 영야초 관련 캐릭터들 (특히 카구야, 에이린) 이라거나 유카리, 유유코 같은 캐릭터들이 비교적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데 반해서, 일본 쪽에서는 동물계 캐릭터들이 중국에 비해서 크게 인기가 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특히 모미지 18(일) 44(중), 카게로 43(일) 75(중), 나즈린 46(일) 85(중) 같은 경우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치르노 14(중) 35(일) 와
스이카 23(중) 44(일) 같은 경우도 중국에 비해 일본에서는 상당히 낮은게 눈에 띄더군요.

구작 친구들의 경우, 일부 구작 캐릭터들은 중국에선 신작 캐릭터 이상으로 인기가 있다는 점도 눈에 띄였습니다.
신키 49(중) 79(일), 유메미 52(중) 81(일), 미마 70(중) 88(일) 가 그 예로군요.
하지만 그외의 구작 캐릭터들의 경우 오히려 중국쪽에서 더 마이너한 것이 눈에 보였습니다.

한편 투표 항목 부분에서도 상당한 차이가 보이는데,
일본쪽 투표에 비해 중국쪽 투표가 마이너한 캐릭터들에 대한 항목이 더 자세한 부분이 눈에 띄었습니다.
하지만 투표 참여자의 규모차이 (일본 36727표, 중국 7296표) 가 있기 때문에
너무 마이너한 캐릭터들은 아예 표를 받지 못한 것도 볼 수 있더군요.

...

팬덤의 환경에 따라 인기 캐릭터들도 어느정도 달라질 수 있다는 반증이 될 수 있을려나요.
그밖에도 여러가지 참고해볼만한 부분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관심있으시면 한번 천천히 살펴봐 주시길..!

그럼 저는 이만 줄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덧글

댓글 입력 영역



오른쪽 바 메뉴

안내


Creative Commons License

퍼가실 때 출처(해당글 or 원문)의 주소를 밝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혹여 저에게 연락이 필요하신 분은
simugungparan.com

관련 링크

본가 홈페이지 (갱신 정지)
채광창 (파란 서비스 종료로 폐쇄 orz)
국산게임사랑 (현재 임시휴업)
후와후와 엘렌 핀터레스트
심유경 트위터

트위터 위젯

2019 대표이글루_game